표준 오델로에서는 8×8 크기의 판에서 돌을 정중앙에 엇갈려 배치하고 흑이 첫 수를 뜨는 장식으로 시작한다. 판이 끝나면 흑백 중 돌 개수가 많은 쪽이 승리한다. 세계 대회나 국내 대회와 같은 주류 대회에서는 게임 진행과 공식 레이팅을 표준 규칙에서만 취급한다. 물론 라운드 당 대국 시간은 짧게는 5분(속기)에서 길게는 40분까지 잡을 수 있지만 시간이 달라지더라도 여전히 표준 룰에 속한다.
만약 이러한 규칙을 수정해서 변형 룰을 만들어낼 수 있다면 어떤 것들을 떠올릴 수 있을까? 가령 체스에서는 피셔 랜덤 체스(체스960)와 같이 말의 배치를 바꾼다거나, 흑백 말의 앞뒤를 바꿔서 폰의 진행 방향을 "멀리서 끌어오는" 쪽으로 뒤집거나, 말의 개수나 판의 모양을 바꾸는 등 아이디어를 다양하게 내볼 수 있다.
아래 목록은 오델로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변형 규칙들을 나열한 것이다. 목록에서 ‡ 표시된 예시는 오델로 기사들 사이에서 널리 알려진 것이다. 그 밖의 것들은 필자 본인이나 다른 국내 오델로 기사들이 한 번쯤 떠올려본 것들 위주로 모아 보았다.
◆ 핸디캡: 플레이어 중 실력이 낮은 쪽이 굳힘돌을 하나 이상 깔고 들어가는 방식. 바둑으로 치면 '접바둑'에 해당한다. 보통은 꼭짓점에 많이 깔며, 경우에 따라서는 굳힘돌을 변으로 이어지게 만들 수도 있다. 물론 굳이 돌을 깔지 않더라도 실력이 낮은 사람이 "덤으로 +몇 개"를 붙이고 표준 대국을 할 수도 있다. 【관련 영상: 세계 챔피언과 붙는다면 이렇게 돌을 깔 수도 있다.】
◇ 평행 시작: 돌 두 개씩 나란하게 배치하고 시작하는 방식이다. 위 그림의 경우 흑1수는 (C3, F3)과 (D3, E3)에서 모양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당연하지만 오프닝 트리는 표준 룰과 전혀 달라지게 된다.
◆ 백 첫 수: 가끔 온라인 게임 중에서 백이 첫 수를 두기도 한다. 【예시】 물론 이 역시 정규 룰에서 벗어난 것이다. 만약 돌의 초기 배치를 바꾸지 않는다면 첫 수 자리는 E3, F4, C5, D6이 된다. 오프닝 트리는 달라지지 않는 대신 판의 좌우를 뒤집고 흑백이 반전된 형태를 하게 된다. 기존 오프닝에 익숙한 사람들 입장에서는 인지 부조화를 겪을 지도 모른다. (이를테면 Rose-Bill은 흑돌 3개와 백돌 10개가 된다든지)
◇ ‡후퇴 모드: 네거티브 모드(Negative Mode), 안티 오델로(Anti-Othello), 리버스 리버시(Reversed Reversi), 지기 게임이라고도 부른다. 모든 진행 방법은 같지만 판 종료 시 돌의 개수가 적은 쪽이 이기는 방식이다. 이 경우 굳힘돌을 확보하는 것이 아닌 내던지는 방향으로 수 읽기가 완전히 달라진다. 가끔 오델로 동호회 내에서 오델로 퀘스트로 "지기 게임 할 사람?" 하면서 프렌드 매치를 하기도 한다. eOthello에서 플레이 가능.
◆ ‡XOT: 랜덤 오프닝 모드로도 불린다. 첫 8수를 처음부터 지정하되 흑백 판세가 0이 되는 길을 정하는 것이다. 이는 흔히 외워서 가는 길이 아닌 낯선 조건에서 수 읽기를 얼마나 잘하는 지를 겨루는 취지로 고안되었다. 목록 중 오델로 기사들이 그나마 가장 관심을 가지는 모드이다. 오프라인에서는 처음 돌 배치에서 지정된 첫 8수 순서대로 직접 착수하는지 아니면 미리 진행한 상태로 깔아놓는 지는 잘 모른다. 일단 본인이 온라인으로 접할 때는 후자 방식을 따른다. 【관련 링크】 오델로 퀘스트, PlayOK, eOthello에서 플레이 가능.
◇ 바이어스: 돌 네 개를 엇갈려 배치하되 중앙이 아닌 곳으로 치우쳐서 세팅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흑1수의 대칭성은 깨진다. 만약 판의 크기를 7×7이나 9×9와 같이 홀수로 바꾸고, 돌 배치 모양이 표준과 같다면 바이어스는 반드시 발생한다.
◆ 장애물: 메이플스토리의 미니게임인 「배틀 리버스」에 실제로 있다. 판의 빈 칸 중 둘 수 없는 자리를 무작위로 지정하고 나머지 칸을 채우는 방식이다. 착수 불가 지점은 벽과 같은 효과를 낸다. 즉 돌 뒤집는 가닥은 장애물을 건너뛰어 이어질 수 없다. 인터넷에 떠도는 이야기로는 프로그램 치팅을 방지할 목적으로 저렇게 변형했다나. 【예시】
◇ 6×6: 판의 크기를 축소한 것이다. 6×6 판은 경우의 수가 슈퍼컴퓨터로 다 찾기 충분한 수준이라 게임이 이미 풀렸다. 흑이 첫 수를 뜬다면 백에게 필승 경로가 존재한다. (8×8 판은 흑백 간 우위 없이 서로 대등하다고 추정하고 있다) 자세한 데이터는 【여기서 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인 Tothello에서 플레이 가능.
◆ ‡10×10: 그랜드 모드라고도 불린다. 칸의 개수는 100개, 게임 내에서 96수까지 진행한다. 공간이 넓어진 만큼 소요 시간도 길고 변의 비중이 표준보다는 살짝 내려간다. 또한 오프닝 별 유불리가 덜 알려져 있으므로 오프닝 북의 의존도가 크게 내려간다. eOthello에서 플레이 가능.
◇ ‡8-star: 팔각형 모양 판으로, 10×10 판에서 각 구석의 세 칸 짜리(꼭짓점 및 C스퀘어)를 제외한 형태를 하고 있다. 칸은 88개이고 84수까지 진행한다. 이 경우 100칸짜리보다 모서리 효과를 더 크게 받고, 뒤집히지 않는 꼭짓점이 8개나 된다. 일본에서는 가끔 이 변형 규칙을 쓰는 모양이다. eOthello에서 플레이 가능.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프닝에도 족(family)이 있을까 (0) | 2021.09.23 |
---|---|
플레이어 국적에 따른 WOF 아이디 번호 (0) | 2021.08.24 |
프로기사도 미끄러질 때는 있다 (0) | 2021.04.16 |
흑 1수의 방향 별 플레이어 성향? (2) | 2021.04.12 |
오델로 세계대회 기록 ('03~'19) (0) | 2020.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