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글은 오델로 미국 챔피언인 벤 실리(Ben Seeley)의 글입니다.
세계 오델로 대회에 처음 나오는 사람들을 위한 조언이라고 합니다. 2018년 10월 초에 오델로 오픈채팅방에서 이 글이 올라왔는데 이걸 여기서 다시 게시해 봅니다. 2004년에 작성되었다고 하는데, 몇 년이 지나도 꽤 가치가 있는 글이 될 겁니다.
=========
Usually it is the newest WOC players that underperform the most, and I have some advice for you guys and gals.
WOC에 새로이 출전하는 사람들은 대개 자기 최대 실력을 잘 발휘하지 못한다. 그렇기에 여러분에게 몇 가지 조언을 하고자 한다.
1. At a minumum, you are going to be playing 13 games, against very stiff competition. Don’t overdo the first games and leave yourself exhausted before you get to the end. Maximize your overall average concentration, if you can- which can include figuring out how you are going to get enough sleep, enough nutrients, etc., to stay at a high performance level throughout.
만만치 않은 경쟁 무대에서 여러분은 최소 13 게임을 하게 된다. 첫 라운드에서 지나치게 체력을 쏟지 말고 막바지에 이를 때까지 지치지 않게 적절히 안배하라. 전체적인 집중력을 최대화 하도록 하라. 여러분 스스로 충분한 수면과 영양 보충 등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는 요령도 익히도록 하자.
2. Watch to make sure your opponents don’t make a misflip. Especially since you need not take a transcript, since there is a table judge, make sure your planning doesn’t get botched by an illegality. Any misflips probably aren’t deliberate, but just ask Tim Krzywonos about how he feels about his game with Andreas Hoehne last year, to see what a big difference a misflip can make. And make damn straight that you don’t make a misflip yourself- because then your opponent will have the option to either leave the board as it is, or make you correct your mistake. Stick your head over the board if it helps your perspective so you don’t miss something.
대국 상대가 돌을 잘못 뒤집지 않도록 주의깊게 보아라. 특히 기보 작성은 의무가 아니기에, 또 테이블 심판이 있기에 갖가지 오류로 당신의 수 읽기 및 전략이 뒤틀리지 않게 주의하라. 어떤 미스플립도 고의는 아니겠지만, 그 실수가 어떤 큰 차이를 일으키는지 알고 싶다면 작년에(2003년?) Andreas Hoehne와 대국을 한 Tim Krzywonos에게 당시 심경을 물어보라. 또한 자신도 돌을 잘못 뒤집지 않도록 조심 또 조심하라. 왜냐하면 상대방에게 판을 그대로 둘지 혹은 잘못을 정정할지 결정권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판에서 시선을 떼지 않고 주시하여 무언가를 지나치지 않도록 하라.
3. Make sure you know the rules. If you don’t know the rules and what you can do in the case of a sticky situation, you could get hurt. No one expects to get into one of those situations, but believe me, shit happens. If you can’t be bothered to know the rules, at least remember to immediately check with the table judge or chief referee when you think something is amiss (for sure, the chief referee will be able to help clarify things). It’s ok to pause the clock if there is some confusion over a possible rules violation, and promptly get the attention of the judge or referee, as long as it’s a legitimate concern. But, while judges are supposed to spot misflips and correct them and stuff such as this, I’ve never seen one actually do it- so it’s best that you understand the rules yourself rather than burdening the referee (but he will understand what to do if your understanding of the rules doesn’t encompass the current situation).
대회 규칙을 확실히 숙지하라. 만일 규칙을 모르고 곤란한 상황에 처할 경우 심리적으로 상처 받을 수 있다. 아무도 그런 곤경에 처할 거라 예상은 안하겠지만, 본인이 장담하건대 재수 없게도 꼭 나온다. 룰 숙지 때문에 머리가 복잡해진다 싶으면, 적어도 이거는 기억하라: 당신이 뭔가 미심쩍은 걸 느낄 경우 즉시 테이블 심판(table judge)이나 주심(chief refree)과 확인을 거치자. 분명 주심은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규칙 위반으로 혼란이 발생한다면 시계를 잠깐 멈춰도 좋으며, 타당한 점검이 진행되는 동안 테이블 심판이나 주심에게 주목하라. 그런데 실제로 테이블 심판이 미스플립을 지적 및 수정을 하는 동안 그렇게 시계를 멈추는 사람은 본 적이 없다. 그러므로 심판에게 전부 판단을 맡기기 보다는 스스로 규칙을 이해하는 편이 낫다. 물론 당신이 알아둔 규칙의 범위에 벗어나는 상황이 나오더라도 심판은 대처법을 알고 있을 것이다.
4. Do check the score to make sure it is correct… in one game last year I assumed the table judge must have counted the right score (which I had counted) and written it on the scoresheet, but in fact he miscounted, and it nearly turned a draw into a loss. Like always in life, check the fine print on anything you affix your signature to.
점수가 올바른지 꼭 확인하라… 본인이 추측컨대 작년에 한 게임에서 테이블 심판이 내가 세었던 올바른 점수 를 셌고 그걸 스코어 보드에 썼으나, 알고 보니 그는 잘못 세었고 무승부가 패로 바뀌었다. 일상에서도 항상 그렇듯이 사인을 하기 전에 깨알만한 주의 사항까지 반드시 체크하라.
5. Have some fun in between games, and in between days. It’s not useful to obsess about your last game and how you could have won it or whatever- and it will wear you out and waste your opportunities to do well in the next game (or it will waste your opportunity to have fun, which in itself is a useful way to distract yourself from the past). You can rehash everything after the tournament is over, and write up an article out of your blunders then.
게임을 할 때와 경기 일정의 시간을 즐겨라. 지나간 라운드에 목매이거나 '어떻게 해야 그걸 이길 수 있었지' 등 생각하기는 도움이 안되며, 당신의 머리 속에 사로잡혀 다음 게임에서 더 잘 할 기회를 놓치고 만다. 아울러 재미를 느낄 기회도 잡지 못하며, 차라리 과거 기억을 리셋하고 기분 전환하는 편이 도움이 된다. 복기와 실수를 되짚어보는 글 쓰기는 토너먼트가 다 끝나고 나서 할 수 있다.
6. For you drinkers out there, the victory dinner typically has an open bar, and since I believe the cost to the sponsors is a flat rate, you can really go for the gusto. And if you are entertaining when drunk, that can be a really good way to make yourself and everyone around you forget your performance in the tournament .
술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위해 말하자면, 빅토리 디너에서는 보통 오픈 바가 있고 스폰서는 일정 비용을 지불해 준다고 알고 있으니 여러분은 정말 다양한 종류를 즐길 수 있다. 취중에 빠지며 즐거워한다면, 그것은 당신과 주변 사람들이 대회 성적과 모든 것을 잊게 해주는 아주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7. Don’t get too upset about losses or a low position in the standings. At least you get to play in the World Othello Championship
낮은 순위와 패배에 대해 침울해하지 마라. 최소한 당신은 세계 오델로 챔피언십에 도전하지 않았는가.
'대회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델로 대회와 스위스 방식 (0) | 2020.05.12 |
---|---|
한국 오델로 협회 대회 규정 (0) | 2019.12.02 |
오프라인 대회 방식·규칙 및 예절 (0) | 2019.11.18 |
한국 오델로 협회 단급제도 (0) | 2019.09.08 |
[오델로] 대회에 처음 참가하는 사람을 위한 안내 영상 (0) | 2019.08.15 |